top of page

남편 돈을 아내 계좌에서 관리(대법원 판례)

  • DOA
  • 1월 1일
  • 2분 분량


증여세 부과 처분 취소: 배우자 예금 증여 사건

[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5두41937 판결]


사건 개요

배우자 간 예금 이동이 증여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해 대법원은 이번 판결에서 부부 사이의 예금 거래가 증여로 간주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했습니다. 특히, 한 배우자의 예금이 인출되어 다른 배우자의 예금 계좌로 입금될 때, 이러한 상황만으로 증여의 과세 요건이 충족되는지에 대한 법적 근거를 명확히 했습니다.


판시 사항

조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에서 과세 요건 사실의 증명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배우자 간 예금 이동이 증여로 간주되는지 여부.

대법원은 배우자 간 예금의 인출 및 입금 사실만으로는 해당 금액이 증여로 간주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판결 요지

조세 부과 처분 취소 소송에서 과세 요건 사실에 대한 증명 책임은 원칙적으로 과세 관청에 있습니다. 그러나 경험칙에 따라 과세 요건 사실이 추정되는 경우, 납세 의무자는 이를 뒤집을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을 입증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와 같이, 배우자 간 예금 이동이 단순히 공동 생활의 편의, 자금의 위탁 관리, 생활비 지급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경험칙에 따라 증여로 간주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증여 사실을 입증할 책임은 여전히 과세 관청에 있습니다.


사건의 주요 내용

원고(배우자 A)의 배우자(배우자 B)는 약 13억 원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5회에 걸쳐 A의 계좌로 입금했습니다. 과세 당국은 이를 A에게 증여된 것으로 간주하고 증여세를 부과했습니다. 원심 법원은 금액이 A의 계좌로 입금된 사실만으로 증여로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계좌 이체가 다른 이유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입금 자체만으로 증여 사실을 추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시했습니다.


판결 결과

원심 판결은 대법원의 법리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사건은 재심리 및 판단을 위해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되었습니다.


의의 및 시사점

이 판결은 배우자 간 금전 이동에 대한 증여세 부과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한 예금 이동 사실만으로 증여를 간주할 수 없으며, 과세 관청이 증여 요건을 명확히 입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부부 간 금전 거래의 다양한 목적과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증여로 단정하는 관행에 대한 경고로 평가됩니다.


참조 조문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4조 제1항

민법 제830조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30길 100-3 4층 TEL:053-383-2785 FAX:053-383-2780
오늘회계법인 대구지점   ​사업자등록번호 : 419-85-02102 대표자 : 안경호
​공인회계사 안경호 http://www.khahn.net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Copyrightⓒ2024-2025 k.h.ahn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